Deserted House 2016-2018

Deserted House_Food for the ancestral rites ceremony, single channel video, 13’00”, 2017

Deserted House_무덤과 비석의 위상학적 지도 topological maps of tombs and gravestones _single channel video,12’08”, 2018

Deserted House_Ceremonial Foods (2017) reenacts the memories of jesa at my grandmother’s house, and inserted between the scenes of reenactment are deviations from the actual memories or the conventional narrative surrounding jesa. Deserted House_The Topological Map of the Graves (2018) reveals the locations of the graves where the women, who do not share patrilineal surnames, and thus are outsiders to the clan, are buried. While this work exposes the clan hierarchy, at the same time it presents the construction of new memorial that rewrites the clan’s accomplishments in the narrative of these women. Along with the three video works, photographs and drawings that were produced en route are installed at the exhibition space, constructing a cross-medial web that consolidates the links between all the work and augments both the content and the intent of the work. 

영상작업인 Deserted House_제사음식(2017)에서는 과거 할머니의 집에서 제사를 지냈던 기억을 토대로 과거의 장면들을 재현하고, 그 사이에 기존의 서사나 기억 속 장면들과 다른 장면들의 삽입을 시도했다. 두번째 영상작업인 Deserted House_무덤과 비석의 위상학적 지도(2018)에서는 아버지의 성을 가지지 않는 가문의 외부인인 여성들이 묻혀있는 묘지의 위치를 보여주며 그 안의 위계구조를 드러내고, 가문의 공적비를 그들의 이야기에 맞춰 다시쓰는 새로운 기념비 제작 과정을 선보인다. 또한 이 두가지 영상작업 과정에서 파생된 사진, 드로잉 작업도 함께 설치하여 매체를 넘나들며 작업들이 서로 연계되게 구성함으로서 작업의 내용과 의도를 보다 다양하고 풍성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Deserted House _Grandmother’s garden 2, Pigment print, 60x40cm, 2016
Grandmother’s bamboo basket tower, 50x75cm, 2018
새로운 기념비_1,2_닥종이에 탁본, 서체 드로잉_75×143cm_2018
Da Eun Lee, 慶 州李 氏 瓢 巖 齋 享 祀 初 獻 官(2007. 5. 3) 경주이씨표암제향사초헌관,Pigment print, 71x30cm,2017

Further Projects